생활정보공유

퇴직금 계산, 고용노동부 지급 여부와 정산하는 방법 확인하기!

꿀 정보 공유함 2023. 8. 24. 15:58
반응형
반응형

안녕하세요, 여러분! 오늘은 실제 퇴직금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. 퇴사와 함께 퇴직금을 받게 될 경우를 대비해 얼마 정도의 금액을 예상할 수 있는지 미리 계산해서 미리 자금 계획을 세우는게 꽤 중요한 일이지 않을 수 없습니다. 그래서 오늘은 퇴직금을 계산하는 방법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.

퇴직금 계산, 고용노동부 지급 여부와 정산하는 방법 확인하기!

퇴직금 계산, 고용노동부 지급 여부와 정산하는 방법 확인하기!
퇴직금 계산, 고용노동부 지급 여부와 정산하는 방법 확인하기! 에 대한 썸네일

퇴직금을 알기 전에 알아두어야 할 사항들

퇴직금의 의미: 퇴직금이란 직장을 그만둘 때 회사로부터 받는 보상금을 말합니다. 근속 기간과 임금을 기준으로 계산되며, 근로자의 노후를 지원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. 퇴직금을 계산할 때 몇 가지 사항을 고려해야 하는데요. 목록으로 나열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.

퇴직금 계산하기 전 알아두어야 할 사항

  1. 퇴직금은 세전 임금을 기반으로 계산됩니다.
  2. 출산휴가나 육아휴직 중의 기간은 근속 기간에 포함되나, 퇴직금 계산 시에는 제외됩니다.
  3. 월급에 이미 포함된 퇴직금을 미리 지급할 수 없습니다.
  4. 상여금과 연차수당 등도 퇴직금 계산에 반드시 포함돼야 합니다.
  5. 퇴직금은 다른 채권과 상계할 수 없습니다.

5가지 조건에 해당 되어야 합니다.

퇴직금 지급 여부 확인하기

  • 총 근로 기간이 1년 이상인 경우
  • 주당 평균 근무시간이 15시간 이상인 경우

계약직, 정규직, 아르바이트 모두 해당 사항입니다.

또한 퇴직금은 근로 계약서에 미리 포함시켜서는 안 되며, 퇴직금 산정 기간은 근로 기간 중 실제로 근무한 날짜를 기준으로 합니다.

퇴직금 계산 방법 살펴보기

퇴직금 계산 공식: 퇴직금을 간단하게 계산하는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.

퇴직금 = (1일 평균임금 x 30일 x 총 근로 기간) / 365일 1일 평균임금 = 퇴직 전 3개월간 임금 합계 / 3개월 동안의 총 근무일 수

예를 들어, 2020년 2월 1일부터 2022년 6월 30일까지 근무한 경우: 총 근로 기간 880일, 월급 250만 원

(82,417.58원 x 30일 x 880일) / 365일 = 5,961,161원 1일 평균임금 = 7,500,000 / 91일 = 82,417.58원 위 계산법을 활용하면 간단하게 퇴직금을 대략적으로 예측할 수 있습니다. 회사에서 정확한 금액과 약간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니, 명세서를 확인하여 검증하는 것이 좋습니다.

마무리

퇴직금 계산을 도와주는 퇴직금 계산기도 활용해보시기바랍니다. 퇴직금 계산은 미리 예측해보는 것이 중요하며, 퇴사 후의 자금계획을 더욱 체계적으로 세울 수 있게 도와주는데요!  오늘 글을 통해서 이제 구독자 분들께서도 퇴직금 계산에 대한 정보를 숙지하셨으니, 앞으로의 금융 계획을 더욱 명확하게 설정할 수 있을 겁니다. 블로그에서 더 많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니,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! 좋은 하루 보내세요 ^^

반응형